본문
도어클로저란 ‘열린문’을 자동으로 닫아주는 장치입니다. 보통 주택보다는 아파트 현관문에 많이 설치되어있죠.
도어클로저는 바디, 메인암, 링크, 브라켓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바디에 달린 속도조절나사를 조절하면 문이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죠. 속도조절 나사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틀면 문 닫히는 속도가 빨라지고, 시계 방향으로 틀면 문 닫히는 속도가 느려집니다.
도어클로저를 설치할 때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어클로저는 미는 쪽에 설치합니다. 주로 안쪽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속도조절나사는 손잡이가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합니다.
- 문과 암의 거리는 50cm 정도 띄워줘야 문이 제대로 닫힙니다.
지금까지 도어클로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일상에서 자주 접하면서도 무심하게 지나쳤던 도어클로저! 이제 현관문을 지날 때마다 유심히 보게 되지 않을까요?
글 / 이혜원
(won@i-db.co.kr)| 작성기사 더보기
[ⓒ 산업정보포털 idb.imarke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상품 보기
관련 기사 보기
-
- [아이위키] 도어클로저
- 열린 문을 자동으로 닫는 장치. 도어 체크(Door Check), 도어스토퍼(Door Stoper)라 부르기도 한다. 문을 닫을 때 발생하는 소음과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현관문이나 외부 문에 사용하지만, 내부에서 통하는 미닫이문이나 창틀 등에도 쓴다. 어느 각도든 문을 열면 자동으로 닫히는 기본형과 스톱 장치가 내장된 정지형이 있다. 정지형은 80~90˚ 이상 열리면 자동으로 멈춘다. 제품에 따라 압력이 달라, 용도나 재질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는 게 좋다.
-
- [아이위키] 일반 건축 자재
- 건축 공사에 사용하는 재료 및 가설재를 이르는 말. 건축에 사용하는 자재들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는 골재, 벽돌, 시멘트, 콘크리트, 레미콘, 아스콘 등 주요 건축 재료를 소개했다.
-
- [기자 리뷰] 전동공구가 건축 박람회에 ‘큰 손’이 된 이유는?
- 전동공구 시장이 심상찮다. 지난 2월 22일부터 25일까지 킨텍스 1홀에서 ‘2018 경향하우징페어’가 열렸다. 건축 내외장재, 창호, 보안 제품과 인테리어 소품, 부동산 업계까지 참여해 역대급 규모를 자랑했다. 이중 단연 눈길을 사로 잡은 건 전동공구였다 전동공구 업계에서는 디월트, 밀워키, 보쉬, 아임삭 등의 브랜드는 물론이고, 케이비원과 상도 등 공구 유통사도 함께했다.
-
- [아이위키] 배관자재
- 급수, 배수, 급탕, 냉방, 난방, 가스 공사용 관을 설치하는데 함께 사용되는 자재들을 말한다. 밸브, 에어벤트, 파이프, 파이프커터, 패킹, 미터기, 유량계, 계량계 등으로 나뉜다. 밸브란 파이프 중간에 설치해 유량이나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다. 에어벤트란 수도관이나 탱크에서 발생한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해주는 밸브다. 배관 내 공기나 가스로 인한 소음과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
- [아이위키] DIY 자재 및 용품
- ‘집스타그램’, ‘집방’ 등 방송과 SNS를 통해 셀프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문고리 교체, 시트지 부착 등 간단한 영역부터 벽지 및 페인트 교체와 같은 시공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른다. ‘DIY 자재 및 용품’들은 이러한 인테리어 시 주로 사용하는 자재 및 부품 등을 말한다.
-
- [아이위키] 수전
- 세면대, 싱크대, 샤워부스 등 건축물 내부에 있는 수도꼭지를 이르는 말. 수돗물을 나오거나 막는 역할을 해 주거 지역뿐 아니라 공동 공간에 꼭 필요한 요소 중 하나다. 수전(水栓)이라는 말은 현장에서 주로 쓰는 말.
-
- [그래픽뉴스] 모바일 쇼핑 거래액 한달에 6조원 육박
- 4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8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9조57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 한달간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5조719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29.7%나 상승했다. 온라인쇼핑에서 모바일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8월 58.2%에서 올해 8월에는 63.2%로 올랐다.
-
- [바르샤바 공대생툰] 16화 내가 뽑은 폴란드 도시 BEST
- 친구들이 유럽 여행을 할 때 폴란드를 지나쳐가는 경우가 많은데, 막상 폴란드에서 지내면서 여행을 다녀보니 좋은 곳이 많았습니다. 바르샤바 공대생이 뽑은 폴란드 도시 BEST!
-
- 산업재 PB 브랜드 열전 ① 산업 공구 PB 빅 3
- 노브랜드와 온리프라이스, 그리고 심플러스의 공통점은 대형 마트의 PB 브랜드라는 것이다. PB란 자체브랜드(Private Brand)의 줄임말로, 제조 설비를 갖추지 않은 유통업체가 독자적으로 상품을 기획한 뒤 생산만 제조업체에 의뢰해서 출시한 제품을 말한다. 대형 자본과 유통 구조를 바탕으로 PB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왔다. 여느 브랜드 못지않은 충성 고객이 생겼고 자체 네임밸류에 유통사 인지도에도 깊은 영향을 주고 있다. 국내 대표 산업용품 유통사인 크레텍책임, 동신툴피아, 케이비원이 그 주인공이다. 모두 50년 가까이 공구 유통 역사의 터줏대감 노릇을 하던 곳들이다. 풍부한 제품 인프라와 유통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존 브랜드 못지않은 가성비와 인지도로 사랑받고 있다. 각기 다른 전략으로 다가가고 있는 PB 브랜드들을 살펴봤다.
-
- [르포] 세운상가와 용산상가의 평행이론
- 세운전자상가(이하 세운)와 용산전자상가(이하 용산)는 서울을 기반으로 둔 전자상가라는 점 외에도 탄생 과정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모두 정부의 큰 기대를 안고 시작한 도시 개발의 시작이며, 한 시대 문화를 대표하는 공간이기도 했다. 그러다 점차 쇠락의 길을 걸으며 도시 재생의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까지 비슷하다. 놀랍도록 비슷한 둘 사이의 평행이론을 하나씩 파헤쳐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