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 개요
미국의 다국적 브랜드다. 각종 소비재, 엔지니어링 서비스, 항공우주시스템을 취급한다. 이 항목에서는 하니웰의 산업안전용품과 측정기기를 주로 다룬다.
2. 연혁
하니웰은 1984년 하니웰과 LG그룹의 합작으로 설립됐으나 1999년 한국하니웰로 독립했다. 석유화학 자동제어 및 IBS 분야에 이르기까지 자동화산업 분야를 선도 중이다. 정유, 석유화학플랜트, LNG 캐리어, 대형빌딩, 반도체 공장 등 인프라 시설에 운영시스템을 공급한다. 인텔리전트 홈시스템, 방범장비, 자동화센서 등도 취급한다.
3. 사업분야
- 안전·보안제품
- 개별소비자 및 가정용제품
- 우주항공 및 방위산업
- 빌딩·건설 유지·보수
- 스캐닝 및 모바일관련
- 산업용공정제어
- 에너지 및 유틸리티관련
- 자동차 및 운송
- 오일 및 가스·정제·석유화학·바이오연료
- 화학물질·특수물질 및 화학비료
- 제조
- 방재 및 응급
4. 대표 제품
산업안전용품은 하니웰의 주요 사업 중 하나다. 손, 머리, 발, 눈, 얼굴 등 신체 모든 부위를 보호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측정기도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부드럽고 압박감이 적어 장시간 착용해도 불편하지 않다. 귀마개 표면에 코팅 처리가 되어있어 오염이나 피부자극, 알레르기로부터 안전한 제품. 차음률은 미국 인증(NRR) 기준으로 29dB, 유럽 인증(SNR) 기준으론 33dB이다. 차음률(NRR: Noise Reduction Ratings)이란 귀마개를 착용했을 때 해당 데시벨만큼 소음을 줄여준다는 의미다. |
||
실험실, 식품가공, 정밀작업, 공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니트릴장갑이다. 니트릴은 기름기 있는 제품을 취급할 때 사용하면 좋은 재질이다. 박테리아 번식을 예방하도록 처리됐으며, 음식과의 접촉에서도 인증을 받았다. |
||
기모로 안감을 처리한 아크릴 편직 장갑이다. 영하 20도까지 사용가능하며, 250도씨에서 15초간 열 접촉 테스트를 마친 제품이다. 그립감이 좋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
||
중국국가품질감독검역국 인증(KN95)을 받은 방진마스크다. 미국의 N95인증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배기밸브가 없으며 세로접이식, 귀걸이형이다. |
||
아시아인의 얼굴 형태에 맞게 디자인된 보안경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렌즈는 99.9% 자외선을 차단해주며, 내구성 강하다. 일체형 렌즈로 되어있어 시야도 편안한 것이 장점. |
||
산소 결핍, 유독성 가스,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측정기다. 가스가 감지되면 30cm 거리에서 약 90dB의 경보음과 진동을 울린다. 별도의 수동흡입펌프를 사용하면 맨홀이나 좁은 공간의 가스도 측정할 수 있다. 측정할 수 있는 가스는 가연성가스, 산소, 일산화탄소, 황화수소다. |
||
산소결핍이나 유독성 가스 중독 등을 예방하기 위해 암모니아 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 10cm 거리에서 95dB의 경보음을 울린다. 고성능 가스센서와 리듐배터리가 탑재돼 2년간 센서와 배터리를 교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하니웰 제품 중 하나다. |
5. 연관 브랜드
세상 모든 것을 만드는 브랜드. 개인보호구, 접착제, 방청윤활유, 절단석·연마석, 사무용품, 의료용품 등 전 산업에 걸쳐 있다. 안전용품 부문에서는 NBR장갑, 실험용장갑, 수술용장갑 등을 만든다. |
||
호주의 안전용품 전문 브랜드다. 일회용장갑을 포함한 산업용장갑, 의료용장갑, 보호복, 마스크 등을 취급한다. NBR장갑, 내화학장갑, 가죽장갑, 충격방지장갑, 베임방지장갑, 라텍스장갑 등의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듀렉스의 뒤를 잇는 세계 2위 콘돔 브랜드이기도 하다. |
||
국내 안전용품 전문 브랜드다. 장갑 부문에서는 절단방지 장갑, 진동방지장갑, NBR장갑을 판매 중이다. 안전용품 중에서도 눈 보호구 부문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
||
미국의 안전 용품 브랜드다. 안전장갑, 보안경, 귀마개, 안전화, 글로브, 용접면 등을 전문으로 제작하고 있다. 킴벌리-클라크 브랜드로 세계시장에 진출해 있다. |
글 / 이혜원
(won@i-db.co.kr)| 작성기사 더보기
[ⓒ 산업정보포털 idb.imarke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상품 보기
관련 기사 보기
-
- [아이위키] 3M
- 세상 모든 것을 만드는 브랜드. 회사의 정식명칭은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미네소타 광업 제조사). 이름에 M이 3개 들어가 있어서 3M이다. 직원들 메일 주소도 id@mmm.com 이다. 이름에서 생기는 에피소드가 많다. 3M의 M을 상품 규격으로 오해하는 경우다. 예전에는 3M이 플로피디스크도 판매했었는데, 제품에 적힌 3M을 회사 이름이 아닌 용량으로 오해한 소비자들이 따지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3MB가 아니고 왜 1.44MB냐고..
-
- [아이위키] 안셀 (Ansell)
- 호주의 안전용품 전문 브랜드다. 일회용장갑을 포함한 산업용장갑, 의료용장갑, 보호복, 마스크 등을 취급한다. 자동차, 화학, 금속 제조, 기계 및 장비, 식품 가공, 농업, 건설, 채광, DIY 등 거의 모든 산업에서 안셀의 제품을 사용 중이다.
-
- [아이위키] 오토스 (OTOS)
- 오토스(OTOS)는 산업 안전 용품 전문 기업이다. 특히 눈 보호구를 전문적으로 개발, 판매하고 있다. 1981년 OGK 광학이라는 이름으로 안전 고글, 작업용 안경, 오토바이 고글 등을 시작해 의료용 기기, 안전 장갑 등으로 사업을 확장시켜 나갔다. 현재 한국산업안전공단, 한국산업표준규격, 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 미국안전규격,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등에서 인증 마크를 획득했다.
-
- [아이위키] 잭슨세이프티
- 잭슨세이프티는 탄생 79년이 된 미국의 안전 용품 제조사다. 보안경, 귀마개, 안전화, 글로브, 용접면 등을 전문으로 제작하고 있으며, 킴벌리-클라크의 브랜드로서 전 세계 다양한 국가에서 판매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유한킴벌리 프로페셔널 사업부에서 수입해 알려졌다.
-
- [아이위키] 개인보호구
- 개인보호구란 재해나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개인보호구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파편이나 비산물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덮개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국소 배기장치는 개인보호구에 포함되지 않는다.
-
- [아이위키] 안전용품
- 재해나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개인보호구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파편이나 비산물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덮개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국소 배기장치는 개인보호구에 포함되지 않는다. 개인보호구는 유해·위험요인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후 수단이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유럽, 미국 등에서도 보호구에 각별히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유럽에서는 보호구를 제조·수입하는 업체나 보호구를 사용하는 사업장에 대해 별도의 지침을 만들어 규제하고 있다.
-
- [바르샤바 공대생툰] 5화 폴란드에서 만난 사람들 (2) 룸메이트 기타
- 폴란드에서 만난 사람들 두 번째는 룸메이트 기타입니다. 인도에서 온 기타는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전자재료 전공 학사를 마치고, 석사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바르샤바 공대에 왔습니다.
-
- [아이위키] 플리어
-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전 세계 1위 브랜드. 열화상 카메라란 모든 물체와 물질이 외부로 방사하는 적외선을 감지해 적외선 이미지로 만드는 시스템이다. 1978년 항공기용 고성능 열화상 카메라 시스템 개발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다양한 쓰임새를 가진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제작해왔다. 자동초점 기능, 초점 구동장치 등 열화상 카메라에 최적화된 전문 기술들을 갖고 있다.
-
- [권병태의 노가다 일기] ③ 청년들을 현장으로 모으기 위한 5가지 방법
- 오늘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진입하는 레미콘 차량 안내와 보행자 보호 신호수 일을 했습니다. 신호수 일은 오후 3시경 끝나 남은 시간에는 주변 정리와 청소를 했습니다. 콘크리트 주입용 펌프카가 있던 공사현장 외부 도로 청소였습니다. 그러던 중 저와 또래고 직책은 모르겠지만 그 현장에서 오래 일한 걸로 보이는 사람이 처음부터 반말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
- 식약처가 발표한 미세먼지 마스크 허위광고 사례
-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보건용마스크 허위·과대광고 점검결과를 발표했다. 공산품을 의약외품인 것처럼 허위로 광고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보건용으로만 쓸 수 있는 제품을 방역용까지 가능한 것으로 과대광고한 경우도 있었다. 식약처가 발표한 허위·과대 광고 사례를 유형별로 소개한다.